All Issue

2020 Vol.5, Issue 3 Preview Page

Article

31 December 2020. pp. 207-217
Abstract
Modern urbanites live most of their daily lives indoors as they live at work during the day and at home at night. Moreover, in order to save energy and increase efficiency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living space, it is gradually sealed, and interest in indoor air quality is emerging. Radon, which is hidden in this space, is a substance that emits strong radiation when uranium in nature collapses. Radon in these daily lives is often generated in old buildings such as detached houses, especially rural houses.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activated carbon adhesive that can improve radon reduction efficiency, rather than a passive alternative method for selecting construction materials, is very necessary. Accordingly, the differentiated technology level was present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현대 도시인은 주간에는 직장, 그리고 야간에는 가정이라는 실내공간에서 생활이 이루어짐에 따라 일상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영위하고 있다. 더욱이 생활공간의 온 ‧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의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점차 밀폐화 되면서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속에 숨어 있는 라돈은 자연 속 우라늄이 붕괴하며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세계 보건기구(WHO)와 미국환경청에서는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으며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 요인 2위로 지목한 바 있다. 이러한 생활 속 라돈은 단독주택, 특히 농촌주택과 같이 오래된 건축물에 많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맥락속에서 사찰, 누각, 고건축물 등 준공년도가 오래된 문화재 건축물 적용 가능한 라돈저감 방안을 제시하고 라돈저감을 위한 환기 및 건축자재 선정차원의 소극적 대안방법이 아닌 라돈 저감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활성탄 접착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차별화된 기술수준을 제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References
  1. 김범수, 친환경 건축내장재의 물성 및 환경유해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년.
  2. 박찬돈 외 1, “황토주택의 거주선호도 조사연구 - 대구광역시 칠곡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1(2), 2013.
  3. 박찬돈, “황토주택의 실내공기질 평가”,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1(2), 2013.
  4. 송미숙 외 6, “생활 ‧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가스 측정 및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12(1), 2014.
  5. 송설영 외 2, “주요 흙 건축재료 현황 및 건축환경 관련 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 에너지학회 논문집, 26(4), 2006.
  6. 안재윤 외 5, “수성접착제를 이용한 목조주택 내벽용 황토 마감재의 물성 및 친환경성”, 목재공학, 35(6), 2007.
  7. 안현규외 2인, 노후 단독주택의 자연환기에 따른 라돈농도 측정 및 분석, 대한설비공학회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9.
  8. 유우석, 김광진, 백남출, 오인숙, 김재식, 농촌주택 실내라돈 오염도 조사,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보, 제25권, p.p 115~125, 2015.
  9. 이규인 외 1, “황토 마감재의 온도 및 습도 조절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2(6), 2012.
  10. 이동현 외 3인, 건축물 유형에 따른 라돈 저감 효과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4년.
  11. 이언구 외 1, “지하공간에서의 라돈가스 특성”, 한국건축설비학회지, 2(1), 1999.
  12. 정준식 외 6인, 강원도 지역 주택형태 및 계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7.12, pp 715-721.https://doi.org/10.21086/ksles.2017.12.24.6.715
  13. 최영철, “실내환경 공기질 관리제도의 발전방향 -정부 실내공기질 관리기본계획(2009~2013)을 중심으로-”, 2012.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 Prevention
  • Publisher(Ko) :문화재방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Society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 Prevention
  • Journal Title(Ko) :문화재방재학회논문집
  • Volume : 5
  • No :3
  • Pages :207-217